RAM (7) 썸네일형 리스트형 RAM 분석 보고서-결론 제4장 결론RAM 분석과 군수지원분석(LSA)은 종합군수지원요소를 개발하기 위한 분석 기법의 하나이다. 장비의 주요 특성인 신뢰도, 정비도, 가용도를 분석하는 RAM 분석은 가장 먼저 수행되어야 하는 분석이다. 무기체계의 운용 가용 상태가 규정된 수준으로 유지되도록 하고, 장비에 부여된 임무의 성공적인 수행을 도모하며, 나아가서 정비인력 및 비용과 군수지원 비용을 절감하기 위하여 RAM 분석 업무가 요구된다. 본 보고서는 ALQ-200K에 대한 RAM 분석 결과를 기술한 보고서로서 RAM 분석의 이론적 배경을 기술하고 RAM 요소의 정량적 정의를 수식으로 제시하였다. 전자 장비의 고장 형태를 분석하여 RAM 분석의 하나로 실시되는 신뢰도 분석은 고장율이 상수로 일정한 가동 고장 기간에 대해서 이루어짐을 .. RAM 분석 보고서-정비도 가용도 분석 결과 (끝) RAM 분석 보고서-신뢰도 분석 결과 To EnvironmentFromEnvironmentGBGFGMNSNUAICAIFAUCAUFARWSFGB0.50.20.30.10.30.20.10.10.11.2GF1.90.40.60.30.60.40.20.10.22.2GM4.62.51.40.71.40.90.60.30.55.4NS3.31.80.70.510.70.40.20.33.8NU7.23.91.62.22.21.40.90.50.78.3AIC3.31.80.710.50.70.40.20.33.9AIF0.52.71.11.50.71.50.60.40.55.8AUC8.24.41.82.51.22.51.60.60.89.5AUF14.17.63.14.424.22.81.71.416.4ARW10.25.52.23.21.43.12.11.30.711.9SF0.90.50.20.30.10... RAM 분석 보고서-개요2 표 . MIL-HDBK-472 각 절차별 분석 비교ProcedureⅠⅡⅢⅣⅤ적용성ㆍ모듈 단위로 교환 하는 항공전자 및 전기, 기계 시스템의 비행라인 정비도 예측ㆍ함상 및 해안 전자장비, 시스템의 정비도 예측. 기능적 레벨에 대해 정비 업무시간이 산정될 수 있는 기계 시스템의 정비도 예측ㆍ공군 지상전자 시스템/장비의 평균 및 최대 실질 보수정비 불가동시간 예측ㆍ시스템, 장비의 평균 보수/예방정비 불가동 시간 예측ㆍ부대, 야전, 창정비 계단에서의 항공 전자전, 지상 및 함상 전자장비의 정비도 요소 예측적용포인트ㆍ설계 개념이 수립 된 이후 필요한 정보란의 데이터 가 가용할 때 적 용ㆍ최종 설계 단계에서 적용ㆍ설계 및 개발 단계에서 적용ㆍ설계, 개발 주기동안 다양한 상세 수준으로 적용 가능ㆍ장비, 시스템의 어느.. RAM 분석 보고서-개요1 (끝) RAM 분석 보고서-서론 제 1 장 서 론 제 1 절 일반 사항 1. 개요 현대의 무기체계는 첨단화, 정밀화, 고가화되면서 다양한 기능을 보유하고 복합적인 임무를 수행하도록 개발되고 있다. 이에 따라 무기체계의 개발/획득비 뿐만 아니라 장비의 운영 유지비도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따라서 장비개발 초기부터 지원성(Supportability)을 고려하여 무기체계를 설계하고 개발하는 것이 중요한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이를 위해 군수지원분석(LSA, Logistic Support Analysis) 업무와 램(RAM, Reliability, Availability, Maintainability) 업무를 체계적으로 적용하여 최적화된 종합군수지원(ILS, Integrated Logistics Support) 요소를 개발하고 효율적인 무기체.. RAM 분석 보고서-목차 제 1 장 서 론 제 1 절 일반 사항 1. 개요 2. 분석 대상 장비의 개요 3. 적용 범위 4. 보고서 구성 5. 적용문서 RAM 분석 보고서-서론 제 1 장 서 론 제 1 절 일반 사항 1. 개요 현대의 무기체계는 첨단화, 정밀화, 고가화되면서 다양한 기능을 보유하고 복합적인 임무를 수행하도록 개발되고 있다. 이에 따라 무기체계의 개발/획득 all-ils.tistory.com 제 2 장 RAM 분석의 개요 제 1 절 신뢰도 분석 1. 신뢰도의 정의 2. 고장현상 분석 3. 신뢰도 예측 방법 및 절차 제 2 절 정비도 분석 1. 정비도의 정의 2. 정비도 예측 요소 3. 정비도 예측 절차 제 3 절 가용도 분석 1.가용도의 정의 2. 고유 가용도 3. 성취 가용도 (혹은 달성 가용도) 4. 운용 가용..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