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관리

국방부 관련 기관별 업무분장

<국방전력발전업무훈령>

 

국방부 전력정책관실

1. 국방전력증강 및 국방과학기술진흥에 관한 정책 수립 및 발전

2. 국방전력증강에 관한 제도 발전 및 소관법령 제ㆍ개정

3. 무기체계 소요결정 및 수정에 관한 업무

4. 방위력개선사업분야 중기계획 작성지침 시달 및 중기계획 수립에 관한 업무

5. 방위력개선사업분야의 예산편성지침 시달 및 예산() 검토

6. 방위산업의 투자촉진과 수출시장 확대관련 승인에 관한 업무

7. 방위력개선사업에 관한 업무 및 사업 조정

8.방위력개선사업분야 분석평가에 관한 정책제도발전

9. 국방부 소관 분석평가 계획 수립

10.방사청 분석평가 결과에 대한 재분석평가 또는 시정조치 요구(군의 작전환경 및 기술변화 등 고려)

11.방위력개선사업의 중기계획수립에 필요한 분석평가

12. 분석평가 목록정보 관리 및 공유

13. 방위사업추진위원회에서 심의ㆍ조정하는 사업추진방법결정, 무기체계 및 장비의 기종결정 등에 대한 검토

14. 국방부장관 및 상부에 보고하는 주요사업계획 사전 검토

15. 전력정책분과위 운영 주관

16. 무기체계 등 소요의 검증

17. 시험평가에 관한 정책의 수립

18. 무기체계 및 핵심기술 등의 시험평가 계획 수립 및 결과 판정

19. 전력운영비에 해당하는 시험평가 예산의 확보 및 지원

20. 전력화장비 후속지원사업의 정책 및 제도발전 지원, 국방중기계획 수립 등

 

국방부 군수관리관실

1. 군수정책, 군수품조달정책, 군수지원계획, 전투긴요물자 및 장비비축계획의 수립ㆍ조정 및 제도 발전

2. 장비ㆍ물자ㆍ탄약의 보급ㆍ운영 및 유지

3. 군수분야의 중기계획() 및 예산() 검토

4. 국방정보시스템을 제외한 전력지원체계의 소요결정 및 소관사업의 관리

5. 편제장비 보강 및 장비운영유지에 관한 업무

6. 군수품의 표준화 및 통합체계지원에 관한 정책 및 제도의 발전

7. 군수품의 관리ㆍ운영ㆍ처분 및 단속에 관한 업무

8. 탄약(시험용 탄약 포함)의 저장, 안전관리, 검사, 정비 및 비군사화 업무

9. 군용폭발물처리 대민지원에 관한 업무

10. 탄약 및 화생방물자의 신뢰성 평가에 관한 업무

11. 대외 군사협력 및 주둔군의 지원에 관한 업무

12. 전력지원체계 연구개발에 관한 정책수립제도발전 및 업무 조정통제

13. 전력지원체계 획득정책업무 총괄, 전력지원체계 사업계획서 및 전력지원체계 목록서 작성검토

14. 전력지원체계 소요결정소요결정 위임 및 사업추진 승인, 국방부 소관사업 통제

15. 전력지원체계 국방부 심의 주관, 결과유지 및 보관

16. 전력지원체계 국방부 심의() 작성 및 심의회 안건 작성, 심의() 작성 품목에 대한 대민업무 등

17. 각군 및 해병대 전력지원체계 연구개발 예산편성() 검토 및 조정통제

18. 연 기술개발 소요제안 접수, 정책수립 및 관련 기술개발 업무, 기술개발 대상과제 선정을 위한 공고 및 평가 주관

19. 운영 중인 군수품의 부품 국산화 정책제도 발전 및 업무 조정통제

20. 군수품 상용화에 관한 정책수립제도발전 및 업무조정통제

 

국방부 지능정보화기획관실

1. 국방정보화분야 중장기발전계획 수립

2. 국방정보시스템 및 정보화분야 핵심기술의 소요결정

3. 국방정보시스템분야의 중기계획() 및 예산() 검토

4. 국방정보시스템 및 지휘통제체계의 상호운용성 및 표준화 업무 조정통제

5. 국방정보시스템 인증ㆍ감리ㆍ통합체계지원 업무

6. 국방정보자원의 공동 활용 및 통합관리 업무

7. 정보보호 및 정보화 역기능 방지대책에 관한 업무

8. 장기 무기체계 소요 주파수 획득정책 수립

9. 군 전파 관련 정책수립 및 관계부처 협의

10. 국과연 수행 정보화분야 핵심기술개발 검토

 

국방부 군사시설기획관실

1. 군사시설정책 수립 및 제도발전

2. 군사시설 이전 및 건설계획 수립, 업무 조정통제

3. 부동산의 관리 및 보상에 관한 업무 수행

4. 주한미군 공여재산 관리 및 기지이전 협의

5. 시설기준표준의 설정, 설계심의, 시공평가 및 안전관리

6. 군 환경정책 및 계획 수립조정

7. 군사시설분야의 중기계획() 및 예산() 검토

 

합참 (합동참모본부)

1. 무기체계 등에 대한 소요결정 및 수정

2. 합동군사전략목표기획서, 합동무기체계기획서 작성

3. 무기체계와 관련된 부대창설 등에 대한 소요결정

4. 방위력개선사업분야 업무협조

5. 소요기획단계 분석평가와 운영유지단계 분석평가 중 전력운영분석

6. 무기체계(지휘통제체계는 제외)의 합동성상호운용성 검토

7. 주파수 소요 검토, 획득 관리

8. 무기체계 정보획득 및 관리와 핵심기술 관련 업무

9. 특별히 보안유지를 필요로 하는 무기체계 관련업무 수행

10. 국방모델링 및 시뮬레이션(이하 국방M&S체계라 한다)분야 발전계획 수립

11. 소요기획단계에서의 합동실험 또는 전투실험 수행

12. 무기체계 및 핵심기술 등의 시험평가 계획 수립 및 결과 판정을 위한 검토

13. 시험평가에 관한 제도발전 연구

14. 시험평가 수행에 대한 조정통제

15. 시험평가 예산의 반영검토 및 집행

16. 전시 시험평가사업의 분류

 

국방정보본부

1. 군 정보발전정책수립 및 제도발전

2. 군사정보 수집처리체계 구축에 관한 업무조정 및 협의

3. 군사정보 데이터 표준화, 통합 관리에 대한 업무조정 및 협의

4. 암호장비 소요 검토

5. 암호장비 연구개발, 성능개량 등 개발 관련 업무 통제

6. 암호장비 규격화전력화 확인

7. 암호장비 정비업무 통제

8. 암호장비 폐기 통제

 

지리공간정보단

1. 디지털 지형정보를 활용하는 모든 체계의 요구성능 작성시부터 전력화 단계까지 지형정보에 대한 기술자문 및 디지털 지형정보 제공

2. 디지털 지형정보 탑재체계의 정확도 및 표준화 검증

 

각 군

1. 무기체계에 대한 소요제기

2. 각군에 위임된 전력지원체계 소요 결정 및 사업관리

3. 전력화지원요소 중 군사교리, 부대편성, 교육훈련요소 개발

4. 신규 무기체계 및 전력지원체계 주파수 소요제기

5. 암호장비에 대한 소요제기

6. 방위력개선사업분야 업무협조

7. 운영유지단계 분석평가 중 전력화평가

8. 방위력개선사업분야 중기계획 수립시 전력화지원요소 소요 제출

9.무기체계 운용·구매시험평가, 핵심기술 연구개발사업 운용시험평가에 대한 계획(안) 작성 및 수행, 결과(안) 작성 및 제출

10. 전력운영분야 중기계획 및 예산편성 요구

11. 기획ㆍ인사ㆍ군수ㆍ시설ㆍ동원, 국방M&S체계 등 분야별 정보화 발전계획 수립

12. 국방관리 기능분야별 운영개념 수립 및 정보체계사업의 소요제기, 중기계획, 예산편성 요구

13. 국방군수관리 업무 지원

14. 소요제기를 위한 전투실험 수행 및 결과 활용

15. 사용자불만품에 대한 현품 보관 및 관련기관 통보

16. 전력화장비 후속지원사업의 국방중기계획요구서() 및 예산요구서() 작성, 사업요구서 및 조달계획요구() 작성, 현장사업관리 등

 

방사청 (방위사업청)

1. 방위력개선사업의 획득에 관한 정책 수립ㆍ제도 발전

2. 방위력개선사업분야 중기계획요구서 작성

3. 방위력개선사업분야 예산편성 및 운영

4. 무기체계 연구개발 및 구매사업 관리

5. 획득단계 분석평가

6. 군수품 중앙조달 및 표준화, 품질보증

7. 방산국제협력 업무, 방위산업육성기본계획 수립, 방산지원 업무

8. 주파수 획득 관련 기술자료 확보

9. 시험평가 예산 편성, 집행, 결산

10. 전력화장비 후속지원사업의 국방중기계획요구서 작성 및 예산편성, 사업추진계획서 및 조달계획서 작성·계약, 사업 및 계약관리 등

 

국과연 (국방과학연구소)

. 국과연 주관 연구개발 무기체계, 전력지원체계 연구개발시험

. 핵심기술 연구개발시험

. 미래도전국방기술 연구개발, 산학연 주관 미래도전국방기술 연구개발 사업관리

. 대군 기술지원

. 합동실험전투실험 및 전력화평가, 기술시범 수행시 업무지원

. 소요제기기관의 무기체계 소요제기서 작성을 지원하는 사전개념연구

 

신속원 (국방신속획득기술연구원)

. 업체 주관 연구개발 무기체계 관련업체 및 관련기관 기술지원

. 연구개발 정책 및 기술지원을 위한 전문분야 연구

 

국방연 (한국국방연구원)

1. 국방기본정책, 군사전략, 군사력 건설 정책 및 제도 연구

2. 방위력개선사업의 비용분석, 비용대효과분석 및 타당성 연구분석

3. 획득 및 방위산업정책 연구

4. 획득에 필요한 관련 정보수집종합분석 및 전파

5. 무기체계 및 전력지원체계에 대한 국방군수관리정책 및 제도 연구

6. 국방정보화 관련 정책연구, 국방정보화관련 사업의 개발지원 및 기술자문

 

기품원 (국방기술품질원)

. 중앙조달 군수품의 품질보증 및 방산물자의 품질경영 업무

. 군수품의 표준화 및 시험평가 등에 대한 기술지원

. 대군 기술지원

. 연구개발 주관기관이나 연구 또는 시제품 생산기관에 대한 기술지원

. 무기체계의 시험평가 기술지원

. 유도무기 품질인증 사격시험 주관

 

국기연 (국방기술진흥연구소)

. 국방과학기술혁신 기본계획, 시행계획 수립을 위한 연구

. 국방연구개발사업의 기획 등에 대한 지원

. 개발성과물의 활용·관리 및 기술이전의 촉진 등

. 국방과학기술 지식·정보의 관리

. 연구시설·장비의 확충 지원 및 활용촉진 등

. 방위산업발전 기본계획의 수립을 위한 조사ㆍ연구

. 방위산업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사업

. 부품국산화에 대한 기술 지원 및 사업관리

. 부품국산화개발 대상품목 조사ㆍ분석 및 공개

. 민간개발 장비ㆍ부품에 대한 기술지원 및 성능시험 지원

. 국방 중소ㆍ벤처기업 기술 지원 및 육성사업에 대한 업무지원

. 중소기업 우선선정 대상 품목에 대한 조사ㆍ분석

. 컨설팅 및 자금융자 사업에 대한 업무지원

. 방위사업청장의 방위산업 수출 진흥업무에 대한 지원

. 방위산업기술 보호에 대한 지원

. 전력지원체계 소요기획서 작성 등의 기술지원 및 기술 조사·분석

. 국방ICT융합사업 과제발굴, 기술기획 및 성과·품질관리

. 전력지원체계의 품질보증 및 품질경영 등에 대한 업무 지원과 연구

. 전력지원체계 및 부품 국산화의 시험평가 기술지원

 

국군지휘통신사령부 합동상호운용기술센터

1. 상호운용성 및 표준화 기반환경(국방정보기술표준, 공통컴포넌트, 표준데이터, 국방아키텍처 프레임워크 등)을 구축 및 관리하여 전군지원

2. 상호운용성시험평가 환경구축 및 시험평가 수행

 

방첩사 (국군방첩사령부)

방첩사는 국방사이버안보훈령2절 제25, 26조와 관련하여 다음 각 호의 사항을 분장

1. 무기체계 탐색개발 및 체계개발 단계에서 무기체계의 정보시스템 및 내장형 SW에 대한 보호대책 검토

2. 무기체계 시험평가 등 전력화 이전 단계에서 보안측정

3. 그 밖에 무기체계에 대한 보안지원 활동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