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 완제품(End Item)
함정, 전차, 차량, 총포, 피복 또는 항공기 등과 같이 사용목적을 위해 곧 사용할 수 있는 최종완성품으로서 이것은 2개 이상의 구성품(component)의 집결체이다.
52. 우선 조치사항
무기체계의 야전운용시험 수행 결과 작전운용성능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나 사용자 편의성 및 야전 운용성 향상을 위하여 양산 단계 또는 전력화 이후 야전에서도 보완이 가능한 수준의 조치사항을 말한다.
53. 운용요구서(ORD, Operational Requirements Document)
소요 무기체계의 임무요구 충족에 필요한 세부적인 운용능력을 기술한 문서로서 군 요구도 설정 및 시험평가기준으로 활용된다.
53의2. 운용형태요약 및 임무유형(OMS/MP)
운용요구서(ORD)의 부록으로 작성하여 체계가 향후 배치되었을 때 전․평시에 어떻게 사용될 것인지를 설명하는 문서로서, 연간 체계 사용방법을 구조화․정량화하여 나타내며, 성능규격과 시험계획 및 체계지원요소 개발 지원 등에 활용한다. OMS/MP에 포함될 내용은 다음과 같다.
가. OMS(Operational Mode Summary, 운용형태요약) : 체계가 운용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될 다양한 예상 행동을 서술
1) 체계설계의 기초 입력값 또는 시험평가기준이 될 체계의 사용법을 문서화
2) Mission Profile에 열거된 모든 주 임무를 포함해야 함
3) 다양한 임무들의 수행 빈도 또는 체계가 각 임무에 사용되는 비율을 포함해야 함
4) 체계 수명주기 동안 체계가 각 환경조건에노출될 세부 시간의 비율 제시
나. MP(Mission Profile, 임무유형) : 특정 임무의 시작부터 종료시까지 겪게 되는 운용사건 및 환경을 시간적으로 서술
1) 체계가 임무의 각 단계에서 만나게 되는 Task, Event, 기간, 운용조건 및 환경 식별
2) 전형적인 임무 시나리오를 포함해야 함
3) 임무를 성공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완료해야 하는 임무, Task 또는 운용 Event를 식별해야 함
4) 각 임무 필수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운용량(시간, 회, 마일, 싸이클 등)을 기술
5) 교리 및 전술과 일치해야 함
54. 응용연구
기초연구결과를 군사적문제의 해결책으로 전환하는 단계로서, 비운영적(실험실) 환경 하에서 기술의 타당성과 실용성을 입증하는 연구단계이다
55. 자체고장진단기능(BIT, Built in Test)
장비의 주전원을 켜면 장비가 정상 작동 전 또는 작동 중에 자동으로 엔진, 변속기, 전기·연료·오일 장치 등 주요 구성품의 상태를 자체 점검하여, 그 결과를 운용자에게 알려주는 기능을 말한다.
56. 작전운용성능(ROC, Required Operational Capability)
군사전략 목표달성을 위해 획득이 요구되는 무기체계의 운용개념을 충족시킬 수 있는 성능수준과 무기체계능력을 제시한 것으로서 주요 작전운용성능과 기술적․부수적 성능으로 구별되며, 이는 연구개발 또는 국외구매 무기체계의 획득을 위한 시험평가의 기준이 된다.
57. 저장탄약 신뢰성 평가(ASRP, Ammunition Stockpile Reliability Program)
저장탄약에 대한 사용가능성(Serviceability), 안전성(Safety), 신뢰성(Reliability), 성능(Performance)등을 평가하여, 탄약의 대체, 정비, 개수 및 보급결정을 위한 기술자료 제공, 새로운 요구사항에 대한 체계분석, 사표의 수정 등에 관한자료 획득을 목적으로 실시되는 종합적인 저장탄약 평가 시스템을 말한다.
58. 전력발전업무
무기체계 및 전력지원체계에 대한 소요기획․획득․운영유지․폐기 등 전 수명주기에 걸친 관리와 그에 대한 정책 발전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전력을 조성(造成)하는 업무이다.
59. 전력화
무기체계를 소요제기기관에 배치⋅인수하는 활동을 말한다.
60. 전력화장비 후속지원사업
획득-운영유지단계를 통합하여 전력화장비의 효율적인 운영유지를 위해 전력화 이후 단계에 방위력개선비로 편성된 창정비 성능개량, 유도탄 수명연장, 전력화 초기 안정화 사업을 말한다.
61. 전력화지원요소
무기체계가 전장에서 합동성, 완전성, 통합성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하는 제반지원요소로서 전투발전지원요소와 통합체계지원요소로 구분한다.
61의2. 전력화지원요소 입증․확정
가. 전력화지원요소 입증
무기체계 획득과정에서 전력화지원요소의 운용성에 대한 적합성여부를 개발자가 시험평가 시 기술면에서 검증하는 것을 말한다.
나. 전력화지원요소 확정
무기체계 획득과정에서 전력화지원요소가 운용성에 대한 적합성여부를 시험평가 책임부서가 시험평가 시 운영측면에서 검증하고, 그 결과를 최종 승인하는 것을 말한다.
62. 전문기관
「국가연구개발혁신법」제22조에 따라 중앙행정기관의 장이 소관 국가연구개발사업에 대한 기획·관리·평가 및 활용 등의 업무를 대행하도록 하기 위하여 설립하거나 지정한 기관을 말한다.
63. 전장관리정보체계
무기체계 중 정보를 수집, 가공, 전달, 전시하는 기능들을 수행하는 컴퓨터․소프트웨어․데이터․통신수단이 통합되어 그 기능을 발휘하는 소프트웨어 중심의 체계로서 연합지휘통제체계, 지휘통제체계, 전투지휘체계, 군사정보체계 등을 통칭한다. 다만, 무기체계의 일부로 포함된 특수목적의 컴퓨터에서 수행하는 내장형 소프트웨어는 제외한다.
64. 전투발전지원요소
소요제기기관의 전투발전을 위하여 무기체계 획득과 연계하여 개발․획득하여 지원하는 요소로서 군사교리, 부대편성, 교육훈련, 시설, 무기체계 상호운용에 필요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주파수 확보 포함)로 구분한다.
가. 군사교리는 무기체계 획득에 따라 운용개념을 재정립하고 관련교리․교범 등을 발전시키는 것으로 운용개념 정립와 중장기 교리발전 소요 판단, 관련 교리 문헌 발간 및 정비 등을 고려하여 확보한다.
나.부대편성은 무기체계 획득과 연계하여 부대의 부여된 임무, 기능 등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최적 인적소요를 판단하여 중기 부대계획에 반영하고 편제표를 작성 및 발간하는 것으로 부대 증창설․해체․감편소요와 병력 증감 소요, 편성 구조 발전 소요 등을 고려하여 확보한다.
다. 교육훈련은 무기체계 획득에 따른 교육훈련 기획소요(교육훈련 제도 및 체계, 학교교육, 부대훈련)를 판단하고, 교육훈련을 위한 장비(학교교육용, 부대훈련용) 및 교보재(CBT, 시뮬레이터, 시청각 교보재, 각종 절개식 교보재) 등을 확보한다.
라. 시설은 무기체계의 운용․시험․훈련을 지원하는데 필요한 부동산과 관련 설비로 시설사업 소요판단은 현존시설의 가용성과 장비운용에 필요한 부대시설 및 편의시설 소요, 시험평가 시설소요, 시설보안 및 전술적 측면, 운용시설의 환경대책, 특수시설 및 훈련시설 등을 고려한다.
마.무기체계 상호운용에 필요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는 무기체계 간 상호연동 및 통합운용을 위해 필요한 장비 및 물자로 무기체계 간 상호연동체계와 통합운용 소요장비 및 물자, 주파수 확보 등을 고려하여 확보한다.
65. 전투실험(Warfighting Experimentation)
전투발전분야에 공학적인 실험방법을 적용하는 방법론으로 운용개념과 요구능력을 충족하는 신기술․신체계․신교리․신조직 등의 대안들을 반복적으로 실험, 성숙시켜 성공이 보장되도록 하는 소요제기 과정이다.
66. 정비대체장비(M/F, Maintenance Float)
지원정비시설에서 즉각 수리가 불가능하거나, 정비 기간에 정비대상 장비를 장기간 운용하지 못함으로써 임무수행에 지장을 초래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정비대체품목을 시설부대나 보급지원시설과 정비공장에서 저장하도록 편제장비와는 별도로 인가한 완성품이나 장비 구성품을 말하며 사용 불가능한 상태의 주요장비에 대하여 지원정비시설에서 적시성 있는 정비가 불가능할 때 정비의 공백 기간을 대체 장비로 지원함으로써 즉각적인 전투태세유지를 위해 운용되는 여유분의 무기체계를 말한다.
67. 제안서(Proposal)
제안요청서에 명시된 무기체계·전력지원체계 등을 공급하기 위한 생산(연구개발을 포함한다), 품질보증, 형상관리, 일정관리 등의 계획과 관련 기술자료를 제안하는 문서를 말한다.
68. 제안요청서(RFP, Request For Proposal)
구매대상 무기체계의 시험평가 또는 무기체계·전력지원체계 연구개발을 위한 주관기관 선정을 위하여 관련업체의 기술자료, 공급(연구개발)계획, 일정 등의 제안을 요구하는 문서를 말한다.
69. 조달(Procurement)
경제주체의 활동에 필요한 적정한 물자, 시설 또는 용역을 필요한 시기와 장소에 획득함으로써 경제주체의 활동을 원활하게 하는 것을 말한다.
구 분 | 구매 | 조달 |
대가 여부 | 일정한 반대급부, 대가가 수반 | 반드시 반대급부가 수반되는 것 아님. |
대가의 성격 | 대가가 수반될 경우, 주로 화폐 또는 이에 상당하는 경제적 가치를 가지는 유가물 | 대가가 수반되더라도 반드시 화폐 또는 유가물은 아님. |
행위의 성격 | 일정한 시기에 필요로 하는 지정된 물자를 반드시 자기 이외의 다른 경제주체로부터 획득하는 교환경제적 행위 | 양자를 겸함 ① 교환경제적 행위 : 지정된 물자를 자기 이외의 다른 경제주체로부터 획득 ② 원시획득경제적 행위 : 자체생산활동에 의해서도 획득 |
대상 | 물자와 용역 | 물자와 용역, 자금 |
70. 진화적 작전운용성능
완벽한 체계를 장기간 개발하기 보다는 시차별 소요제기로 사용 가능한 체계를 조기에 개발하고, 새로운 첨단기술을 체계에 적용하는 것을 말한다.
∙블록(Block) 및 배치(Batch)
구 분 | 블록(Block) | 배치(Batch) |
개 념 | 성능개량을 목적으로 주요형상 및 설계(H․W 및 S․W) 변경으로 기술개발에 따른 성능개량 | 생산주기(Production Run) 및 사업순기를 목적으로 한 구분, 시간의 흐름에 따른 성능개량 |
정 의 | 무기체계 성능개량을 목적으로 주요 설계변경 시 이를 구분하기 위하여 사용하며, 주로 지상․전투기 및 유도탄에 적용 | 동일 무기체계가 획득시기에 따라 설계가 변경되어 계약되는 단계를 말하며, 주로 함정에 적용 |
주 요 용 례 | 지상, 전투기 및 유도탄 | 함정 |
기술발전 속도가 빠르거나 전력화기간이 장기간 소요되는 무기체계에 적용하는 용어로서 무기체계의 성능개량을 목적으로 설계 변경 시 구분하기 위해 사용한다.
∙빌드(Build) : 진화적 개발전략에서 도입하고자 하는 체계의 요구사항에 대한 버전, 주로 기능(업무)을 기준으로 분할하여 전력화 단위로 적용
71. 진화적 획득
선진 획득개념의 하나로 완벽한 체계를 장기간 개발하기보다, 시차별 소요제기로 사용 가능한 체계를 조기에 개발하고 새로운 첨단기술을 체계에 적용하기 위한 것으로 점증적 개발과 나선형 개발 전략으로 구분한다.
72. 창성능개선
창성능개선이란 창정비 대상장비 중 창성능개선 사전연구를 통해 도출된 개선소요를 창순환정비시 반영하여 무기체계의 상태와 성능을 향상시킴으로써 운영유지여건을 보장하는 것을 말한다.
72의2. 창성능개선 사전연구
창성능개선 사전연구는 소요결정이 필요한 성능개량 소요와 이에 이르지 않는 성능개선이 필요한 소요를 포함하여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연구를 말한다.
73. 체계(System)
주어진 임무유형과 운용형태를 수행하거나 지원할 수 있는 품목, 결합체(또는 세트), 숙련도, 그리고 기술이 합쳐진 구성체를 말한다. 하나의 완전한 시스템에는 그 시스템 본연의 운용 내지는 비운용 또는 지원환경에서 독자적으로 운용하는 데 소요되는 관련시설, 품목, 재료, 근무 및 인원 등이 포함된다.
74. 체계지원분석(PSA, Product Support Analysis)
무기체계의 수명주기 동안에 걸쳐 체계지원요소를 확인, 분석 및 구체화하는 활동으로 획득단계별로 주장비의 지원체계를 결정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며, 해당 무기체계의 운영유지비용을 최적화시키는 동시에 무기체계 운용 시 지속적인 체계지원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보장하는 통합체계지원업무의 실체적인 활동이다.
75. 체계통합(SI, System Integration)
기동・함정・항공무기체계 등에 탑재된 각종 센서, 무장, 장비 등을 유기적으로 통합하고, 시스템 최적화를 통해 통합전투성능 및 운용성을 극대화하는 것이다.
(계속)
'도구 및 정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군수지원 성과관리 훈령-정의 (1) | 2024.01.19 |
---|---|
국방전력발전업무훈령-정의(4/4) (0) | 2024.01.16 |
국방전력발전업무훈령-정의(2/4) (0) | 2024.01.16 |
국방전력발전업무훈령-정의(1/4) (1) | 2024.01.16 |
성과기반군수지원 훈령-PBL 표준 비용구조 (0) | 2024.0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