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11대요소

설계반영 요구 및 결과 보고서-본론/결론

 

제 2 장 설계 반영 요소

제 1 절 설계 반영 요소

 

목 적

ALQ-200K의 정비성 및 운용성 향상을 위해 주장비 및 정비장비 실용시제 개발 시 고려해야 할 설계 반영 요소에 대한 지침 제공

 

주장비 설계 반영 요소

접근(Access)

저 신뢰성 부품 : 접근성이 용이토록 설계

설계 반영 요소

고 고장율 부품

제거가 용이토록 설계

타 부품과의 간섭 최소화

작업공간 확보

볼트/스크류 및 덮개

신속한 접근을 위해 표준화

마운팅 위치

공구 소요 감소

소켓 및 콘넥터

육안 관찰을 통한 작업성 고려

캡티브 스크류 및 볼트

주장비내 낙하/분실 방지

케이블 및 기판

덮개 제거를 최소화하도록 설계

 

조종(Adjustment)

목 적 : 시스템 운용중 혹은 교체가능품목 교체 후 조정 업무 최소화

설계 반영 요소

특성 변화에 덜 민감토록 허용오차 범위 고려

엄격한 허용오차 보다 느슨한 허용오차

드라이버, 조정봉 및 기타 공구로 조정시 장비손상이 되지 않도록 설계

측정을 위한 조정시 표시기(Dispaly)나 미터기(Meter)를 볼 수 있도록 설계

 

자체 점검 장비(Built- in Test Equipment: BITE)

목적 : 오경보, 오진단의 가능성을 최소화

설계 반영 요소

신뢰성 있도록 설계

주장비와 자체점검장비와의 물리적 연결(Connection)을 최소화

케이블 연결 불량으로 인한 주장비 고장 가능성 배제

비교 검토(Trade-off) 필요 : 비용 측면

주장비 복잡(무게, 부피, 전원에 대한 부담)

수리 및 예방정비 용이(진단 및 점검 시간 단축)

 

회로(Circuit)

목적 : 회로 설계 및 부품 배치시 초기 단계 부터 정비성 고려

설계 반영 요소

사건의 논리적 순서 및 회로의 신호 흐름 파악을 통한 부품 배치

고장 진단이 용이하게 시험점(Test Point)설계

능동소자(예 : Processor)

고장난 부품 제거 및 교체시 타 부품에 손상 방지토록 설계

제작업체 정비를 고려

야전정비에서 회로수준의 정비는 지양(회로의 복잡성)

 

접합(Connection)

목적 : 신뢰성과 정비성 비교 검토

설계 반영 요소

접합 방법에 따라 신뢰도 상이(고 신뢰도 순)

Wrapped

Welded

Machine-soldered

Crimp

Hand-soldered

Edge Connector(Pin)

기판 내부는 고 신뢰도 접합 방법 선정

신뢰성 우선 고려(정비성 2차 고려사항)

Wrapped, Welded, Machine-soldered

교체 가능 품목간 혹은 교체 가능 품목과 시스템 사이

정비성 우선 고려(신뢰성 2차 고려 사항)

Plug-in, Edge Connector(Pin)

케이블 콘넥터에 마킹

플러그를 소켓에 잘못 결합하거나 다른 소켓에 결합 방지

콘넥터 및 핀 손상 방지를 위한 기구적 설계

플러그 및 기판의 부적절한 결합방지

 

표시기(Display) 및 지시기(Indicator)

목적 : 진단, 점검 등 수리 시간 단축

설계 반영 요소

신뢰성 및 단순성

Go, No-go 식별가능 시간 단축

Color code

엄격한 색상 구분(작동상태 양호, 경보조건 등)

표시기는 육안식별 용이 및 안전하고, 편리한 곳에 설치

경보조건에 대해 가시 및 가청 기능 부여

운용/정비요원이 고장에 대해 주의 환기

표시기의 정량적 정보 표시 방법

미터기의 눈금 및 포인터로 인한 시차 효과로부터 오판독 방지

합격/ 불합격 영역 색상 구분

선형 눈금이 대수 눈금보다 가독성이 좋음

일관성 유지

눈금 및 범위 : 오판독 감소

표시기와 관련된 색상, 기호, 라벨

디지털 표시기 적용 : 아날로그 표시기 보다 가시성 좋음

기준값 범위 내에서 조정 및 점검 시 아날로그 표시기 사용

 

취급(Handling)

목적 : 체계 및 교체 가능 품목의 취급 용이성 고려

설계 반영 요소

고중량으로 인해 제거가 용이하지 않은 모듈 : 이송치구 제작

게거 가능한 모듈의 형상 및 크기

날카로운 면과 고전압 부위 보호

분리된 모듈이라도 Capacitor의 충전 전압으로 인한 위험 요소 배제(커버제작)

라운딩(모따기) 처리

손잡이

모듈을 잡기 위해 타 구성품 사용 억제

모듈의 안정성(Stability)

취급시 모듈의 불안정성(Instability)으로 인한 손상 방지

 

주유(Lubrication)

설계 반영 요소

주유점은 외부에서 접근토록 설계

신속한 예방정비 및 손상 가능성 축소

 

마운팅(Mounting)

설계 반영 요소

자체적으로 위치를 잡을 수 있도록 마운팅

마운팅 핀, 브라켓의 기구적 설계 및 Lay-out은 위치 변경을 방지토록 설계

 

부품 선정(Part Selection)

설계 반영 요소

예비품 조달의 용이성 : 부품단종에 대비 장기적인 부품 수급

저장 조건하에서의 신뢰성 및 열화

인식 용이성

취급 용이성

부품 단가

물리적 강도 및 조정 용이성

 

인간공학적 요소(Human Factor)

목적 : 취급시 설계반영 요소와 더불어 정비시간 단축

설계 반영 요소

최소한의 기술 수준을 요구하도록 설계

초 소형화 설계

접근성 설계시 정비 인원의 안전과 편안함을 고려

신체부위, 이동, 작업 영역(reach, span) 한계

공구 사용시 작업공간 확보

조명(고정/휴대)

환경 및 장비에서 발생되는 부하로부터 보호

기후, 습기

열, 진동, 소음, 가스, 이동 부품 등

 

인식성(Identification)

목적 : 마킹(Marking) 및 라벨링(Labeling)을 통한 인식성 강화로 수리 및 교체의 신속성

설계 반영 요소

주요구성픔, 장비 명판 부착

품명, 제조년월, 일련번호, 로트번호, 국가재고번호, 제조국 및 제작업체

전기적 사양, 마력, 회전수(rpm), 무게, 용량

정비작업 용이성 및 방향성 인식을 위해 마킹

부품, 기판, 케이블, 전면판, 하우징

명판 및 마킹 원칙

정확히 식별 할 수 있도록 마킹

식별성이 좋은 위치(위, 옆)

가시성이 좋게 마킹

영구적

식별 용이성 향상을 위해 특정 번호 및 기호(단순화)

기계 Part : 식별 번호(제작번호)

전자 Psrt : 전기적 사양(정격치)

Color coding : 단순화(색맹 고려)

케이블 하네스

정비장비 시험결과

 

호환성(Interchangeability)

설계 반영 요소

동일한 제작업체에서 제작한 모듈, 구성품, 장비의 품질특성은 동일

로트 번호가 달라도 크기 ,형태, 무게등은 동일

허용범위 고려(느슨함)

제작업체가 상이하더라도 인터페이스가 가능토록 설계

접합부(mounting hole, slot, bracket)

호환성 불가 부분 : 기능적 호환성

어댑터(Adapter) 사용

 

표준화(Standardization)

목적 : 구성품의 표준화로 신속한 정비를 가능케 함

공구 및 시험장비 소요 최소화

부적절한 시험도구 사용으로 인한 지연시간 단축

예비품 종류 및 품절 가능성 축소

설계 반영 요소

Connector, Cable, Line : 체계측면, 주요 구성품간, 주요 구성품 내부

볼트, 너트, 스크류 : 종류 축소

Mounting 위치 고려 : Housing, Cover, Case

안전성(Safety)

목적 : 불안전한 설계로 인한 필수 정비활동 누락 방지

설계 반영 요소

접지

고온/고전압 부근에 보기 쉽도록 라벨 부착(물리적 보호)

취급 용이성을 위해 적절한 손잡이 사용

뾰족한 곳이나 면 제거 : 덮개(Rubber, Plastic) 설치

작업영역과 위험영역 구분 : Color coding 적용

작업장내 적절한 조명

 

시험점(Test Point)

목적 : 성능저하에 대한 진단, 조정, 점검, 교정 및 감시를 위해 주장비와 시험장비와의 인터페이스

설계 반영 요소

교체가능품목(LRU)에 대해선 시험점 설계

정비행위로 인한 고장 가능성 최소화

회로내 시험점 설계

시험장비의 오용으로부터 주장비 보호

가능한 위치에 Capacitor, Resistor, Transistor를 이용하여 보호

시험점의 위치 및 외형에 대한 표준화

잘못된 연결로부터 오용, 오진단의 가능성축소

시험점의 위치 및 수량은 설계 초기단계부터 고려

진단 요구 수준

기술교범

가용한 기술 수준

시험장비의 종류

필요한 시험점만 설계

불필요한 시험점은 정비 측면에서 낭비 요인

 

제 2 절 설계 반영 요구 사항

 

1차 시제

사업추진 회의(01.05.28) 및 CDR 회의 결과

사업추진 회의 및 CDR 회의 결과를 정리하면 아래 표와 같다.

 

순번 군 요구사항 처리결과 비고
1 제어지시기 NVIS화 설계에 반영키로 제작사(LGIT, 뉴트론전자)와 협의 완료 완료
2 RF-4C 장착성 RF-4C ln B'D Ployn을 F-4D/E 도태품으로 교체중이므로 F-4 장착용으로 설계 추진 완료
3 지속파 잡음재밍 신호발생 시 하모닉 주파수 배제 방안 주파수 Up, Down 변환없이 6-18GHz를 수신 및 송신하므로 하모닉 주파수 문제 없음 완료
4 POD 예상 무게 현 검토결과 POD 무게가 260Kg 예상되나 240Kg 목표로 축소토록 추진 완료
5 CG Point가 러그 중심에서 1“가 약간 넘을 경우 문제 규격상 3“ 이내이므로 문제 없음 완료
6 해상 모드 설정 개념 공해 합동훈련 임무 시나리오를 별도로 설정하여 해군과의 대응 훈련 시 활용 가능토록 설계에 반영 완료
7 고도별 위협처리 능력 고도별 위협 우선 순위 변경처리 가능토록 설계에 반영 완료
8 Warm-up 시간 단축을 위해 온도 센서 부착 가능성 Warm-up 시간 단축을 위해 온도 센서 부착 시 동반되는 부수적인 단점이 많아 부적합 완료
9 대역구분을 6GHz로 설정한 이유 최신 전자기술을 적용, 2밴드(저대역 2.5~6, 고대역 6~18GHz)로 구분하여 설계 완료
10 시스템의 모든 제어신호를 TTL 신호 형태로 일원화 전송길이 3m까지 TTL 신호를 사용한 경험을 토대로 검토 후 설계에 반영 완료

종합군수지원 실무위원회 회의 결과

종합군수지원 실무위원회 회의 결과를 정리하면 아래 표와 같다.

 

순번 적용 장비 군 요구사항 처리결과 비고
1 정비
지원
장비
비행대기선에서 비행대기선 프로그램대 BIT 결과 확인 기능 필요성 여부 정비 개념상 부적절한 것으로 판단되므로 기능 삭제 완료
2 MDF 단자를 POD의 전방 또는 중앙으로 이동할 수 있는지 여부 정비작업이 용이하도록 적절한 위치를 선정할 예정임 완료
3 야전정비지원장비와 정비작업대에 장착된 POD와의 케이블 연결 형태 요구 정비작업대에서 POD를 회전시킬 수 있는 기능과 정비작업의 간편성을 고려하여 케이블을 바닥에 설치하고 케이블 보호커버를 사용하도록 설계하였음. 신규 시설 공사시에는 바닥에 케이블 설치 가능토록 반영 요함 완료
4 기존에 사용중인 포드 장착대의 바퀴와 LOCKER의 불편한 점을 보완 반영하여 개발 기존 장비의 불편사항을 반영하여 설계 완료
5 시스템 정비대의 컴퓨터 모니터와 본체를 랙에 장착하지 않고 별도로 장착할 수 있는지 여부 장, 탈착할 수 있도록 설계 완료
6 제어지시기를 정비지원장비에 장착할 수 있는지 여부 설계에 기 반영되어 있음 완료
7 송신안테나 차폐기에서 고주파 신호 누설 차단 필요 고주파 신호가 누설되지 않도록 설계 제작 완료
8 무정전 전원공급장치 제공 여부 개발 시 반영 완료
9 소프트
웨어
지원장비
다중 위협 시뮬레이터에 연결되는 고주파케이블을 Flexible한 것을 개발 가능한지 여부 유연성 있는 케이블을 선정하여 개발 시 반영 완료
10 임무
지원
장비
위도, 경도 데이터를 입력하여 Way of Point를 지정할 수 있는지 여부 설계 반영하여 개발 중에 있음 완료

2차 시제

CDR 결과(02.09.05)

CDR 결과를 정리하면 아래 표와 같다.

 

순번 적용 장비 제기내용 처리결과 비고
1 방향 탐지기 시스템국부 발진기 4GHz 1M 고주파 누설신호존재. 필터 추가. 완료
2 필터대역 경계 중첩보정
(필터 경계지역에서 대역 이동).
필터경계지역 48MHz 중첩보정. 완료
3 수신레이돔 레이돔 형상에 따른 위상 변화 심각. 레이돔 형상 변경. 완료
4 POD 구조물에 의한 반사파 영향. 반사파 입사 억제 구조. 완료
5 재밍 채널화 수신기 RF 부품 이득평탄도 누적. 기본대역 변환판 대역별 등화기 추가.
기본대역 변환판 대역별 이득 Pad로 조정.
32채널화 필터판 지연선 길이조정.
32채널화 필터판 채널별 이득 Pad로 조정.
32채널화 필터판 필터배열간격 조정.
완료
6 SPDT 스위치 자체 Isolation 성능 미흡. SPDT 스위치 2개를 사용하여 스위치 자체 Isolation 성능개선. 완료
7 스위치-필터부분 Bead 연결에 따른 채널간 상호간섭 영향. 스위치 2개 단위의 하우징 제작으로 간섭 영향 제거.
Bead 연결방식 대신 SMP Connector 연결 방식 사용으로 채널간 상호간섭 억제.
완료
순번 적용 장비 제기 내용 처리 결과 비고
8 재밍 채널화 수신기 무게 축소 요구사항 발생 * 별도로 있던 32채널화 필터판의 main plate 덮개를 제거하고 기본대역변환판의 밑판을 32채널화 필터판의 main plate 덮개로 사용.
* 기구 하우징 중 기타 불필요한 부분 제거.
- 기본대역 변환판 하우징 구조 보완.
- 32채널화 필터판 하우징 구조 보완.
완료
9 광대역 고속 수신기

장치 통합. 광대역 고속 수신기+시스템 재밍제어기 -> 시스템 제어기. 완료
10 DTO 위치변경.

광대역 고속 수신기
->방향탐지기.
완료
11 방향탐지기와의 통신 단일화. PDW 발생판 설계 변경. 완료
12 광대역 고속 수신기용 시스템통신판 삭제. 시스템제어기의 시스템통신판 사용. 완료
13 시스템제어기와의 통신 방식. LVDS -> Dual Port RAM. 완료
14 블랭킹 제어장치 변경.

재밍 제어기 -> 시스템제어기. 완료
15 시스템 제어기 장치 통합. 광대역 고속 수신기+시스템 재밍제어기 -> 시스템 제어기. 완료
16 항공기 연동방안 변경. 항공기 연동판 재설계. 완료
17 블랭킹 신호 수신경로 변경
(블랭킹 제어장치 변경).
재밍 제어기 -> 시스템제어기. 완료

 

순번 적용 장비 제기 내용 처리 결과 비고
18 시스템 제어기 RWR 블랭킹 신호폭 확장 필요. 블랭킹 신호 확장 가능토록 MDF에 변수추가.
항공기 연동판에 펄스 확장화로 추가.
완료
19 RGP 기법의 Capture Time동안 AM 기법 금지 필요. Low delay 시점에 AM 금지 기간을 MDF에 추가.
재밍제어기와의 인터페이스 추가.
완료
20 순차 기법 추가 필요.. MDF와 OFP 수정으로 순차기법 적용기능 추가. 완료
21 다중위협 시 Lookthru로 인한 동기 재밍 효율 감소. Lookthru 연동 구간내에 동기 재밍이 존재 시 동기재밍 PRI 블랭킹으로 처리. 완료
22 재밍제어기 SDLVA 출력이 DR르의 입력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함. Limiting RF 이득 조정(Input : -55~0dBm,
Output : 10~14dBm).
완료
23 레이더신호를 선행하는 제어신호 발생 시 추적기에서 수신 가능. Flywheel 제어 개념 추가 완료
24 RGP with AM 제어
(Capture 구간에서 레이더가 재밍신호에 충분히 고려되도록 AM을 Off해야 효과적임).
AM 기법 발생회로에 AM ON/OFF 제어 회로 추가하여 DSP에서 제어. 완료
25 Lookthru시기와 RGP 기법 커브간의 상관성 결여 Pause 기능 추가.
Flag 추가.
완료
26 특정 재밍 할당의 경우에 대해서 CW 출력이 안되는 경우 발생. EPLD로 로직 수정. 완료
27 지속파를 이용한 협대역 잡음기법 발생 요구 및 유사장비기법 분석에 의한 추가 소요. 지속파기법.
순차 기법.
완료
28 동기시 DTO를 교번하므로 CLT 효과 저하. CLT 제어 회로 추가. 완료
순번 적용 장비 제기 내용 처리 결과 비고
29 지속파 재밍기 900MHz 필터 분리
(F-16과 Hawk 미사일의 주파수가 필터 대역내에 동시 존재하여 ALQ-200K 시험시 Hawk 재밍 신호가 시스템의 신호수신에 영향을 미침).
필터를 F-16과 Hawk의 사용주파수 경계로 두 개의 필터로 분리. 완료
30 전방송신 구동기 RF 커넥터 위치 보완 필요 RF 커넥터 위치 변경 완료
31 저전압 전원 공급기 일부 직류 출력이 단락된 상태에서 전원인가 시 단락된 출력 이외의 단자에서 전원이 차단되지 않고 계속 출력됨. 저전압 감시회로 초기무시 기능 보완, 타이머 추가 완료
32 저대역진행파관(전방)의 히터전압이 낮아 히터저전류 고장 AC인 히터 전원을 DC화 함
Line loss를 고려하여 고전압 전원케이블의 선재를 20AWG 이상으로 변경.
완료
33 고대역 고전압 전원공급기 전력변환 모듈 및 고압발생 모듈의 발열에 의한 잦은 고장으로 신뢰성 저하 전력변환부 공진회로 보완
펄스변압기 권선 비 조정
전력소자 재선정, 발열부 재료비교 검토
완료
34 공간적 제약으로 절연 및 조립 구조가 취약함 FE모듈 재설계 및 구조 축소 방안 적용
부분적인 모듈화 구현
완료

 

 

ALQ-200K 소프트웨어 운용지원장비 설계내역 실무 검토 회의(2002.9.26)

소프트웨어 운용지원장비 설계내역 실무 검토 회의 결과를 정리하면 아래 표와 같다.

 

순번 적용 장비 제기 내용 처리결과 비고
1 MDF
프로그램대
MDF 데이터 입력 및 수정창에서 변경 사항을 기록할 수 있는 메모장을 제공 MDF 편집 기능에서 메모장을 별도의 창으로 실행시켜 제공하며, MDF 파일 단위로 저장 관리함 완료
2 MDF 프로그램대 구현을 위한 DBMS의 선택 향후 MDF 프로그램대의 성능 개선 및 유지 보수를 위해 추가 비용소요가 발생하지 않는 MS ACCESS 수준의 DB 사용을 고려 완료
(MS ACCESS)
3 OFP
프로그램대
동적 시나리오 모드에서 항공기의 고도 정보 등을 표시하여 제공 동적 시나리오 화면상에 원형의 표시기(헤딩 방향과 고도계)를 제공 완료
4 하드웨어 장치와의 연동없이 동적 시나리오 소프트웨어를 컴퓨터 상에서 운용할 수 있는 기능 제공 데모용으로 동적 시나리오 모의를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간략히 개발하여 제공하거나, 기존 88AK의 동적 시나리오 소프트웨어를 X 쪽으로 포팅 제공 완료
(데모용으로 동적 시나리오 모의를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간략히 개발하여 제공)
5 다중위협
시뮬레이터
장기 사용 후, 고주파 부품에 대한 보정이 요구됨 보정을 위한 주파수 보정 프로그램이 내장되어서 제공됨 완료
6 시험 장비대 두 개의 신호를 동시에 화면에 전시하는 스펙트럼 분석기 제공 한 신호를 저장하고, 다른 신호를 캡쳐하여 수동으로 비교할 수 있음 완료
(현재 동시에 두 개의 신호를 측정하는 스펙트럼 분석기가 상용으로제공되고 있지 않음)

ILS MT 안건 반영여부

순번 제기내용 처리결과 비 고
1 정비대충장비 소요분석 과정 문의 소요분석 결과에 대해서 시험평가 후 ILS-P에 반영 01-2차 MT(완료)
2 19전비에 야전정비 지원 장비 미보급 여부 현재는 미보급으로 결정.
추가소요는 소요군에서 차후 결정
01-2차 MT(완료)
3 창정비 주기 설정 창정비 주기 데이터는 작성. 창정비 여부와 창 정비 시 주기는 군과 협의 01-2차 MT(완료)
4 정비작업대 호환성 여부 ALQ-88은 사용가능하나 ALQ-88용 정비작업대로 ALQ-200K를 작업할 수 없음 01-2차 MT(완료)
5 야전정비위협시뮬레이터에서 현재 공군에서 사용중인 RWR에 모의신호 제공가능 여부 가능 01-2차 MT(완료)
6 부대정비지원장비 정비 기능 추가 검토 기술적으로 가능하나 운용개념상 부적합하여 미반영키로 결정 01-2차 MT(완료)
7 재밍에 대한 상황 도시를 위해 요구되는 RCS 확정값 삽입 프로그램내 F-16, F-4 RCS 확정값 삽입 01-2차 MT(완료)
8 동적시나리오 모의에서 위협에 대한 탐지거리 표시방안 위협특성을 고려하여 사용자 임의로 입력 및 표시 가능 01-2차 MT(완료)
9 포드 연간 운용시간 확정 필요 [문서근거:항공무 335 21 -466(02.7.16)]에 의거하여 1쏘티당 1.83시간으로 확정 02-1차 MT(완료)
10 RF-4C TO 미확보건 국내에서 확보가능한 TO 는 모두 확보, 국내 미확보 TO에 대해서는 F-4교범 기준으로 작성 02-2차 MT(완료)
11 제어기와 냉각팬 거리는 2.5m이상, 제어기와 포드거리는 7m이상 검토 냉각장치 허용범위 내에서 3m, 7m로 연장조치 02-2차 MT(완료)

1차 시제, 2차 시제 비교

ALQ-200K 1차 시제와 2차 시제의 변동사항은 다음표와 같다.

 

적용 장비 1차시제 최종시제 비 고
하부
곤돌라부
o. 방향탐지기 길이 : 1007.4mm











o. 방향탐지기 및 신호 수신기로 구분
o. 신호수신기 길이 : 776.6mm







o. 일부 과발열 부품을 포드내부로 이동하여 냉각성능 향상
o. 전체 볼륨 및 무게 감소
o. 곤돌라사이즈 감소로 하부 장착면이 확대 되어 돌리 및 정비 작업대에 안착성 확대
점검
콘넥터
o. 콘넥터부 : 점검콘넥터 1개, MDF용 : 1개









o. 콘넥터부 :
MDF용 1개











o. 콘드라부에 있던 2개 의 콘넥터중 정비용 점검 콘넥터를 포드 내부의 시스템 제어기 콘넥터중 1개를 사용 하는 방법으로 변경 하여 곤드라부의 MDF용 콘넥터 접근성 개선
o. 점검커버 Fastening : Screw 7개 o. 점검커버 Fastening :
Push Button 2개
o. 점검커버 잠금용 볼트를 푸시버트 타입으로 변경하여 점검커버 개폐시간 대폭감소

 

적용 장비 1차시제 최종시제 비 고
냉각부
구조변경
o. 급속착탈용 연결부 : 압력계, 유로 변경용 밸브 및 하부 덮개와 밀착되어 접근성이 떨어져 냉각호스의 장탈착이 어려움. o. 급속착탈용 연결구 : 냉각부에 연결된 급속착탈용 연결구의 주변에 방해물이 거의 사라진 상태로 접근성이 개선되어 장탈착에 문제없음. o. 포드내부의 냉각장치에 연결되는 급속착탈용 연결구의 주변에 방해물이 거의 사라진 상태로 접근성 개선





o. 매니폴드 밸브에 장착하여 비행모드, 정비모드를 구분 하여 사용정비시 오동작우려 o. 체크밸브를 장착하여 비행이나 정비에 상관없이 단일모드를 사용함.(사용자의 조작이 필요없음) o. 냉각회로내의 매니폴드 밸브를 제거하고 체크 밸브를 장착하여 밸브의 오조작을 방지함.



지상 정비용 열교환기 o. 정비용 열교환기가 하부덮개 및 중앙 보강용 프레임에 밀착되어 장탈착시 사용자 조작시 간섭이 발생함 o. 정비용 열교환기를 세로로 세우고 주변공간을 확보하여 장탈착성을 개선함





o. 지상정비용 열교환기의 위치 및 장착 방향을 변경하고 공간을 확보하여 접근성 개선






 

 

제3장 결론

본 보고서에서는 ALQ-200K의 정비성 및 기능, 운용성 향상을 위해 제기되었던 주장비 및 정비지원장비, 임무지원장비, S/W 지원장비의 성능향상 방안과 설계 변경 요구를 기술하였다.

또한 본 보고서의 작성기준은 1, 2차 시제의 CDR, 사업추진 회의, 종합군수지원 실무위원회 회의, ILS MT때 도출되었던 결과를 토대로 기술하였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