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 부품단종정보
부품설명, 원제작사 부품번호, 국가 재고번호, 원제작사 업체명, 단가, 관리단위 등 부품을 명확하게 식별하는데 필요한 부품정보와 부품의 단종 여부, 단종일자 등과 관련된 정보인 단종정보와 생산시작일, 판매종료․수리종료(예상)일 등의 수명정보와 정보획득처, 정보획득시점 등을 포함한 종합적인 정보(별지 제7호 서식 참조)를 말한다.
22. 비군사화
장비 및 물자가 지니고 있는 군사적 특징을 제거하는 행위로 군사목적으로 더 이상 사용하지 못하도록 해체, 절단, 폭파 및 친환경적 재활용처리, 변조 등의 조치를 말한다.
23. 상태기반정비(CBM+ : Condition Based Maintenance plus)
무기체계 각 구성 장비의 상태를 정상 가동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상태를 정량적 분석하여 고장징후나 성능저하를 초래하는 시점을 미리 파악하여 고장발생 직전에 정비함으로써 장비가 가지고 있는 최대 수명까지 사용 가능케 하는 최신 정비형태 중의 하나이다.
24. 성과기반군수지원(PBL : Performance Based Logistics)
군수품의 안정적인 가동률 보장을 위해 소요군은 가동률, 조달기간 등 성과지표를 제시하고 계약상대방은 장기계약 또는 장기계속계약으로 군수지원요소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제공하여 그 성과에 따라 대가를 차등 지급하는 제도를 말한다. 즉, PBL은 제품이나 용역만을 구매하는 것이 아니라 제품 또는 용역을 포함한 성과를 구매하는 것이다.
25. 성능개량(PIP : Product Improvement Program)
운용 중인 또는 개발 중인 무기체계에 대하여 일부 성능․기능 변경을 통한 작전운용성능 향상, 기술변경․품질개선을 통한 성능․기능 향상 및 운용유지면의 신뢰성과 가용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성능개량의 수준에 따라 성능개량 및 경미한 성능개량으로 분류한다.
26. 수명주기관리계획서(LCSP : Life Cycle Sustainment Plan)
체계의 총수명주기관리를 목적으로 통합체계지원 업무수행과 체계적인 관리를 위한 계획문서로써 소요단계부터 군사요구도 수립 시 통합체계지원요소별 획득방안을 고려하여 개발단계에서 작성하고, 획득․운영유지 전 단계에 적용 및 최신화된다. 주요 내용은 성과지표 및 수명주기비용관리의 일반현황, RAM, 체계지원분석 및 통합체계지원요소의 획득단계별로 달성해야 할 활동, 주관․관련부서별 임무 그리고 임무달성을 위한 세부 일정계획과 예산 등의 통합체계지원관리, 시험평가 및 야전운용시험, 전력화평가의 평가관리, 부품단종관리 및 부품국산화관리 등의 특별관심사항관리, 장비의 운영유지, 처분, 비군사화 관리계획 등이 포함된다.
27. 수명주기비용
하나의 무기체계가 개발・획득・운영・도태되는 때까지 소요되는 전체비용이며 일반적으로 연구개발사업을 통해서 획득된 장비의 경우에는 연구개발비, 양산비, 운영유지비, 폐기비 등이 포함된다.
28. 수명주기비용 추정값
현시점 체계의 수명주기비용 분석을 통하여 향후 수명주기비용 관리의 목표가 되는 미래의 추정된 비용값을 말한다. 수명주기목표비용은 향후 발생하는 수명주기비용 관리의 척도를 제공함으로써 비용 발생 원인을 분석하여 조치하고 개선하는 등 의사결정을 위한 지표를 제공하지만 직접적인 비용통제 의미를 갖지는 않는다.
29. 시제품
체계개발단계에서 설계에 적용된 각종기술이 요구운영능력을 충족시키는데 적합한가를 평가하기 위하여 제조된 제품으로써 개발시험평가 및 운용시험평가의 대상이 된다.
30. 시험평가기본계획서(TEMP : Test and Evaluation Master Plan)
연구개발하는 무기체계의 시험평가계획을 종합적으로 명시한 문서로써 최초 체계개발 수행 시 작성하며, 개발시험평가 및 운용시험평가의 기준문서가 된다.
31. 신뢰성(RAM : Reliability Availability Maintainability)
신뢰도(Reliability), 가용도(Availability), 정비도(Maintainability)의 약어로써 장비가동률과 전투준비태세 향상 및 수명주기비용 절감의 핵심지표이다. RAM 업무는 무기체계의 소요제기부터 처분에 이르는 전 수명주기까지 목표값 설정 및 할당, 설계지원 및 평가, 설계개선 및 방안도출, 체계지원분석(PSA), 통합체계지원(IPS) 요소개발 및 야전운용제원 수집․분석 등의 임무를 지원하는 체계공학 업무이다. 이에 추가하여 안전성(Safety), 내구도(Durability)를 포함하여 RAM-S 또는 RAM-D라고도 한다.
31-2. 신뢰성기반비용관리(RAM-C : Reliability Availability Maintainability Cost)
신뢰성기반비용관리(RAM-C)는 RAM 목표를 충족하면서 수명주기비용(Cost) 최소화 대안을 제공하는 공학적 분석 기법을 말한다.
32. 야전운용제원 수집ㆍ분석 활동
야전운용제원 수집ㆍ분석 활동이란 장비운영의 효율성과 경제적인 군수지원을 보장하고 장비가동률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야전운용제원을 수집, 분석하고 그 결과를 환류시켜 통합체계지원요소 최적화를 관리하는 활동을 말한다.
33. 운영유지비
무기체계의 야전배치시부터 도태시까지 소요되는 비용으로써 여기에는 인력운영, 수리부속, 탄약, 연료, 정비비 등이 포함된다.
34. 운용가용도(Ao : Operational Architecture)
규정된 조건에서 사용되는 무기체계가 어느 시점에서 만족스럽게 작동할 확률을 말한다. 운용가용도는 행정과 군수지연시간 및 정비대기시간이 포함된다.
35. 운용시험평가(OT&E : Operational Test & Evaluation)
소요군이 시제품에 대하여 각종 작전환경 또는 이와 동등한 조건에서 작전운용성능 충족여부를 확인하고, 교리․편성․통합체계지원요소 등에 대한 적합성을 시험평가하는 것을 말한다.
36. 운용요구서(ORD : Operational Requirements Document)
소요 무기체계의 임무요구 충족에 필요한 세부적인 운용능력을 기술한 문서로써 군 요구도 설정 및 시험평가기준으로 활용된다.
37. 운용형태요약 및 임무유형(OMS/MP : Operational Mode Summary/Mission Profile)
운용요구서(ORD)의 부록으로 작성하여 체계가 향후 배치되었을 때 전․평시에 어떻게 사용될 것인지를 설명하는 문서로써, 연간 체계 사용방법을 구조화․정량화하여 나타내며, 성능규격과 시험계획 및 군수지원요소 개발 지원 등에 활용한다. OMS/MP에 포함될 내용은 다음과 같다.
가. 운용형태요약(OMS) : 체계가 운용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될 다양한 예상 행동을 서술
1) 체계설계의 기초 입력값 또는 시험평가기준이 될 체계의 사용법을 문서화
2) Mission Profile에 열거된 모든 주 임무를 포함해야 함
3) 다양한 임무들의 수행 빈도 또는 체계가 각 임무에 사용되는 비율을 포함해야 함
4) 체계 수명주기 동안 체계가 각 환경조건에 노출될 세부 시간의 비율 제시
나. 임무유형(MP) : 특정 임무의 시작부터 종료시까지 겪게 되는 운용사건 및 환경을 시간적으로 서술
1) 체계가 임무의 각 단계에서 만나게 되는 Task, Event, 기간, 운용조건 및 환경 식별
2) 전형적인 임무 시나리오를 포함해야 함
3) 임무를 성공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완료해야 하는 임무, Task 또는 운용 Event를 식별해야 함
4) 각 임무 필수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운용량(시간, 회, 마일, 싸이클 등)을 기술
5) 교리 및 전술과 일치해야 함
38. 인가저장목록(ASL : Authorized Stockage List)
보급지원시설부대에서 현 보급운영을 지속하고 장차 예측되는 소요를 충당하기 위하여 항시 저장 유지하도록 인가된 보급품의 총 목록을 말한다.
39. 자재명세서(BOM : Bill Of Material)
모든 품목에 대해 상위 품목과 부품의 관계와 사용량, 단위 등을 표시한 list, 도표, 또는 그림을 말한다. 상위 품목은 하나 이상의 부품으로 제조되는 품목이고 부품은 상위 품목으로 전환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정을 거쳐야 하는 품목이다.
40. 자체고장진단(BIT : Built in Test)
장비의 주전원을 켜면 장비가 정상 작동 전 또는 작동 중에 자동으로 엔진, 변속기, 전기․연료․오일 장치 등 주요 구성품의 상태를 자체 점검하여, 그 결과를 운용자에게 알려주는 기능을 말한다.
(이전)
총수명주기관리업무훈령-정의(1/3)
1. 개발시험평가(DT&E : Developmental Test and Evaluation) 체계개발 단계에서 제작된 시제품에 대하여 기술상의 성능(신뢰도․유지성․적합성․호환성․내환경성․안정성 등)을 측정하고, 설계상의 중
all-ils.tistory.com
(계속)
총수명주기관리업무훈령-정의(3/3)
41. 장비 가동률 편제장비 가동률과 보유장비 가동률로 구분한다. “편제장비 가동률”이란 편제표에 반영된 장비의 수량 중 가동장비가 차지하는 비율로, 편제표에 반영된 장비의 수량 중 부족
all-ils.tistory.com
(끝)
'도구 및 정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과기반군수지원 훈령-PBL 표준 비용구조 (0) | 2024.01.08 |
---|---|
총수명주기관리업무훈령-정의(3/3) (0) | 2024.01.07 |
총수명주기관리업무훈령-정의(1/3) (0) | 2024.01.07 |
성과기반군수지원 훈령-성과지표 (0) | 2024.01.06 |
성과기반군수지원 훈령-정의 (0) | 2024.0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