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67) 썸네일형 리스트형 개발시험평가계획서-목차 1. 개 요 가. 목 적 나. 관련문서 다. 사업 추진경과 라. 체계개요 마. 시험평가 방침 바. 제한사항 사. 기타(필요시) 2. 대상장비 및 수량 가. 대상장비 및 수량 나. 대상장비 형상 및 특성 다. 전력화지원요소 라. 시험지원 및 보조장비 마. 기타(필요시) 3. 시험평가 기간, 장소 및 방법 가. 시험평가 기간 나. 시험평가 장소 다. 시험평가 방법 라. 기타(필요시) 4. 시험평가 항목 및 기준 가. 시험평가 항목 나. 시험평가 기준(항목별 기준설정 근거 포함) 다. 세부 항목별 시험평가 내용(평가기준, 시험조건, 시험 방법 및 절차) 라. 기타(필요시) 5. 실무장 시험 수행여부 ※ 해당사항이 없을 경우, “해당사항 없음”으로 작성 6. M&S를 활용한 시험평가 7. 소요예산 가. 총 괄 .. 시험평가기본계획서 (TEMP)-목차 1. 개 요 가. 목 적 나. 추진경과 다. 문서구성 라. 적용 규정 및 문서 2. 대상체계 소개 가. 개발 개요 나. 시스템 서술(임무, 운영개념 등) 다. 시스템 위협분석 라. 주요효과도(KPP 등) 및 적합성 측정기준 마. 핵심기술요소(CTP 등) 3. 시험평가계획 개요 ※ 사업특성을 고려하여 가․감하여 작성 필요 가. 개 요 나. 목 적 다. 시험평가 기본방침 라. 주요일정 마. 관리계획 바. 결과판정 사. 위험관리 계획 아. 기타(필요시) 4. 개발시험평가 계획 ※ 사업특성을 고려하여 가․감하여 작성 필요 가. 목 적 나. 방 침 다. 주요항목 라. 환경구성 마. 제한사항 바. 기타(필요시) 5. 운용시험평가 계획 ※ 사업특성을 고려하여 가․감하여 작성 필요 가. 목 적 나. 방 침 다. 주요항.. 운용요구서 (ORD) - 목차 □ 소요제기기관 제출 운용요구서 항목 장 세부내용 1. 개 요 1.1 문서개요 1.2 체계 개요 2. 운용능력 개요 2.1 체계 필요성 2.2 전반적인 임무영역 2.3 체계 설명 2.4 체계분석 내용 2.5 체계 임무 2.6 운용개념 3. 위 협 3.1 위협요소 3.2 위협환경 * 위협대응 체계일 경우 4. 임무시나리오 4.1 부대 임무 4.2 전투 환경 4.3 전투시나리오 부록. OMS/MP 운용형태요약, 임무유형 * 세부내용은 별표 1 용어정의 참조 □ 운용요구서 완성 항목(방위사업청에서 완성, 필요시 방위사업청에서 수정·삭제) 장 세부내용 1. 개 요 1.1 문서개요 1.2 체계 개요 2. 참조문서 2.1 정부문서 2.2 기타문서 3. 운용능력 개요 3.1 체계 필요성 3.2 전반적인 임무영역 3... 무기체계 세부분류 1. 지휘통제ㆍ통신무기체계 중 분 류 소 분 류 대 상 장 비 지휘통제 체계 연합지휘통제체계 연합지휘통제체계(AKJCCS), 연합군사정보유통체계(MIMS-C) 등 합동지휘통제체계 합동지휘통제체계(KJCCS), 군사정보통합처리체계(MIMS), 전구합동화력운용체계(JFOS-K) 등 지상지휘통제체계 지상전술C4I체계(ATCIS), 대대급이하전투지휘체계(B2CS) 등 해상지휘통제체계 해군전술C4I체계(KNCCS), 해군전술자료처리체계(KNTDS) 등 공중지휘통제체계 공군전술C4I체계(AFCCS), 공군중앙방공통제체계(MCRC) 등 통신체계 전술통신체계 전술통신체계(SPIDER), 전술정보통신체계(TICN) 등 전술데이터 링크체계 합동전술데이터링크체계(JTDLS), 지상전술데이터링크(KVMF) 위성통신체계 군위성.. 전력지원체계 획득 절차도 전력지원체계 획득 절차도 (끝) 무기체계 전력화지원요소 확보 절차도 ○ 연구개발의 경우 ○ 국외구매의 경우 ※ 2개 군 이상의 전력지원체계 전력화지원요소 관련 정책 확정은 국방부가 담당 (끝) 국방부 관련 기관별 업무분장 국방부 전력정책관실 1. 국방전력증강 및 국방과학기술진흥에 관한 정책 수립 및 발전 2. 국방전력증강에 관한 제도 발전 및 소관법령 제ㆍ개정 3. 무기체계 소요결정 및 수정에 관한 업무 4. 방위력개선사업분야 중기계획 작성지침 시달 및 중기계획 수립에 관한 업무 5. 방위력개선사업분야의 예산편성지침 시달 및 예산(안) 검토 6. 방위산업의 투자촉진과 수출시장 확대관련 승인에 관한 업무 7. 방위력개선사업에 관한 업무 및 사업 조정 8.방위력개선사업분야 분석․평가에 관한 정책과 제도발전 9. 국방부 소관 분석․평가 계획 수립 10.방사청 분석․평가 결과에 대한 재분석․평가 또는 시정조치 요구(군의 작전환경 및 기술변화 등 고려) 11.방위력개선사업의 중기계획수립에 필요한 분석․평가 12. 분석․평가 목록정.. 국방전력발전업무훈령-정의(4/4) 76. 최초물량 및 후속물량 가. 최초물량 연구개발 또는 구매 등으로 획득하는 물량 중 야전운용시험을 고려한 최소 전술단위 운용에 필요한 물량을 말한다. 나. 후속물량 연구개발 또는 구매 등으로 획득하는 물량 중 최초물량을 제외한 나머지 양산 및 구매 물량을 말한다. 77. 최초양산 및 후속양산 가. 최초양산 연구개발에 의한 획득사업의 해당사업 계획물량 중 최초에 사업 승인된 물량을 생산하는 것을 말한다. 나. 후속양산 연구개발에 의한 획득사업의 해당사업 계획물량 중 최초양산 물량을 제외한 나머지 물량을 생산하는 것을 말한다. 78. 통합시험(Combined Test) 개발시험과 운용시험 간 공통적 시험 항목과 내용을 통합하여 하나의 시험계획에 반영하여 수행하는 시험(시험결과에 대한 분석과 평가는 각각의.. 이전 1 2 3 4 5 ··· 9 다음